전체 글(85)
-
SASS(SCSS)를 CSS로 변환하는 방법
1. 컴퍼일러 설치 node-sass는 Node.js를 컴파일러인 LibSass에 바인딩한 라이브러리입니다. -g옵션으로 전역 설치해줍니다. npm install -g node-sass 2. 사용방법 -w 혹은 -watch 옵션을 입력하면 파일을 감시하여 저장 시 자동으로 변환해줍니다. node-sass [옵션] [출력파일경로] 예제) node-sass style.scss style.css 3. 윈도우에서 보안 오류 발생 시 다음과 같은 보안 오류가 발생하면 을 관리자모드로 실행시켜 명령어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node-sass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C:\Users\7020_64bit\AppData\Roaming\npm\node-sass.ps1 파일을 로드할 수 없..
2022.03.19 -
프로토콜(Protocol)이란?
프로토콜(Protocol)이란? 상호 간의 약속, 규약, 협약 등을 말하는 것이다 상호 간의 교류, 소통, 통신을 위해 동일하게 규칙이나 설정을 정한다는 뜻으로 네트워크 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통신 프로토콜 네트워크 등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TCP/IP, HTTP, FTP, SMTP, POP, IMAP, DHCP 등이 있다 TCP/IP 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로 이루어져 있다 개인 PC에서 네트워크 설정 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나 6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것을 말한다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로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s)://로 시..
2022.03.19 -
Snippet이란?
Snippet이란? Snippet은 작은 조각이라는 뜻으로 코드의 전체가 아닌 일부만 발췌한것을 말한다 코딩 예제를 기입할때 전체 코드가 아닌 설명하고자 하는 일부분만 적어둔 것이 Snippet이다
2022.03.19 -
프록시(Proxy)란?
프록시(Proxy)란? 프록시란 대신이라는 의미의 단어로, 프로토콜에 있어서 대리 응답 등에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프록시 서버란? 보안상의 문제로 직접 통신을 주고받을 수 없는 관계에서 중계를 중계서버의 역할을 합니다 이용자가 프록시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프록시 서버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 서버에서 정보를 취특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이용자 입장에서의 프록시 서버는 정보를 리턴해주는 서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서버의 입장에서 프록시 서버는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캐싱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 사용되는 콘텐츠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Forward Proxy 내부 사용자가 외부의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지고 오고자 할 때 사용 내부망에서 요청하는 사이트 주소를 프록시 ..
2022.03.16 -
스로틀링 (Throttling), 디바운싱(debouncing)이란?
스로틀링(Throttling)이란?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과도한 작업으로 인해 기기에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능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모바일 기기뿐 아니라 서버에 부담을 주는 과한 동작 등이 일어날 때 이를 제어하기 위해 시간을 두어 처리를 한다던지 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프로그래밍에서의 스로틀링과 디바운싱 프로그래밍에서의 스로틀링은 주로 함수의 호출이 과도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으로, 서버로의 호출에 따라 비용이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어 이를 제한하는 방식을 말한다. 스로틀링 특정 함수가 호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에 다시 호출되지 않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것 디바운싱 연이어 동일한 함수가 호출되면 함수들 중 하나의 함수가 호출되도록 하는 것 (마..
2022.03.16 -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트랜잭션이란?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로, 단순하게 SQL문으로 쿼리를 하나 실행하는 것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개의 테이블이 수정될 때 이를 이루는 하나의 작업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주문이 일어날 경우 1. SELECT : 상품의 재고 정보를 가져온다 2. INSERT : 주문서가 생성된다 3. UPDATE : 상품의 재고가 줄어든다 세 개의 동작이 일어나는데 이 한 묶음의 동작이 트랜잭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트랜젝션의 설계를 잘못하게 된다면 주문서가 생성되지 않고 실패하였는데 상품의 재고가 줄어든다던가, 상품의 재고가 없는데 주문서가 생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엉망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여러 개의 ..
2022.03.16